반응형

12. Python 19

[파이썬 기본편_18] 소수점 몇째 자리까지 표현하기 (%0.3f)

1.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표시하기 a = "%0.3f" % 3.42134234 print(a) 결과값: 3.421 0.3 --> 셋째자리까지 표시 f --> float 2. 소수점 넷째자리까지 표시하기 a = "%0.4f" % 3.42134234 print(a) 결과값: 3.4213 0.4 --> 넷째자리까지 표시 0을빼도 결과가 같음 a = "%.4f" % 3.42134234 print(a) 결과값: 3.4213 3. 10을 넣으면? a = "%10.3f" % 3.42134234 print(a) 결과값: 3.421 (총 10칸이 되고, 소수점 셋째자리까지 표현됨) 외 울 필 요 전 혀 없 음

12. Python 2023.10.23

[파이썬 기본편_17] 포맷코드와 숫자를 함께 사용하기 (%10s, %-10s)

1. a = "%s" % "hi" print(a) 결과값: hi 2. a = "%10s" % "hi" print(a) 결과값: hi s앞에 10을 넣으면 hi 앞에 빈칸 8칸 + hi의 2칸 = 총 10칸(전체길이) 의 텍스트가 표현됨 3. a = "%-10sjane." % 'hi' print(a) 결과값: hi jane. hi를 앞에 두고 싶으면 % 다음에 마이너스(-)를 입력함. (hi + 공백 = 10칸) 사실 요 기능들은 실무에서 잘 안씀. 메롱.

12. Python 2023.10.21

[파이썬 기본편_16] 문자열 포맷 코드 (%s , %%)

코드 설명 %s 문자열(String) %c 문자 1개(character) %d 정수(Integer) %f 부동소수(floating-point) %o 8진수 %x 16진수 %% Literal % (문자 % 자체) 여기서 %s 만 잘 알아둬도 됨 s = sting (문자열)은 어떤 값이든 수용 가능함 1. a = "I have %s apples" % 3 print(a) 결과값: I have 3 apples s가 문자열이지만, 제일 마지막의 3도 수용 가능해서 %s 자리에 3이 오게 됨 만얀 %를 표시하고 싶다면? %%를 이용!!(백슬래쉬만 비슷함) 2. a = "I have %d%% apples" % 3 print(a) 결과값: I have 3% apples (참고) %%: 파이썬 3.6이상부터 쓸 수 있는..

12. Python 2023.10.21

[파이썬 기본편_15] 문자열 포매팅 (%d, %s)

포매팅이란? 예시) 현재 온도는 18도입니다. 현재 온도는 20도입니다. ... 현재 온도는 34도입니다. 여기서 저 숫자 부분만 바꿀 수 있게 하는 것 1. a = "I eat %d apples." %3 print(a) 결과값: I eat 3 apples. %d 에서 d는 decimal = 10진수를 의미. 젤 끝에 3 자리에 다른 수를 넣으면 해당 수가 %d 자리로 간다 2. a = "I eat %d apples." %5 print(a) 결과값: I eat 5 apples. 3. a = "I eat %s apples." % "five" print(a) 결과값: I eat five apples. %s 에서 s는 string (문자열). 젤 끝의 % 뒤에 있는 문자가 %s 자리에 오게 된다 4. numb..

12. Python 2023.10.21

[파이썬 기본편_14] 문자열 슬라이싱 a[ : : ]

슬라이싱: 범위를 정한 부분을 가져옴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print(a[0:4]) a[0:4] --> a의 0번째부터~4미만까지 가져와~~~~ 출력값: Life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b = a[19:] print(b) a[19: ] : a의 19번째부터 끝까지 출력값: You need Python 2.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b = a[:] print(b) a[ : ] --> a의 처음부터 끝까지 출력값: 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 3.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b =..

12. Python 2023.08.24

[파이썬 기본편_13] 문자열 인덱싱(indexing)

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print(a[3]) a는 문자열. a[3] 은 문자열인 a의 3번째 인덱스를 뜻함 파이썬은 0번부터 숫자를 센다! 0번째: L 1번째: i 2번째: f 3번째: e 그래서 a의 3번째 인덱스는 e 임 (참고로 빈칸도 인덱스에 포함됨) 최종 출력값: e a = "Life is too short, You need Python" print(a[0]) print(a[12]) print(a[-1]) 출력값: L s n -1은 역으로 센다

12. Python 2023.08.24

[파이썬 기본편_9] 역슬래시 \ 기능 모음

\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\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\\ \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\' 작은따옴표('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\" 큰따옴표(")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\r 캐리지 리턴(줄 바꿈 문자, 커서를 현재 줄의 가장 앞으로 이동) \f 폼 피드(줄 바꿈 문자, 커서를 현재 줄의 다음 줄로 이동) \a 벨 소리(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'삑' 소리가 난다) \b 백 스페이스 \000 널 문자

12. Python 2023.08.22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