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파이썬%s 3

[파이썬 기본편_17] 포맷코드와 숫자를 함께 사용하기 (%10s, %-10s)

1. a = "%s" % "hi" print(a) 결과값: hi 2. a = "%10s" % "hi" print(a) 결과값: hi s앞에 10을 넣으면 hi 앞에 빈칸 8칸 + hi의 2칸 = 총 10칸(전체길이) 의 텍스트가 표현됨 3. a = "%-10sjane." % 'hi' print(a) 결과값: hi jane. hi를 앞에 두고 싶으면 % 다음에 마이너스(-)를 입력함. (hi + 공백 = 10칸) 사실 요 기능들은 실무에서 잘 안씀. 메롱.

12. Python 2023.10.21

[파이썬 기본편_16] 문자열 포맷 코드 (%s , %%)

코드 설명 %s 문자열(String) %c 문자 1개(character) %d 정수(Integer) %f 부동소수(floating-point) %o 8진수 %x 16진수 %% Literal % (문자 % 자체) 여기서 %s 만 잘 알아둬도 됨 s = sting (문자열)은 어떤 값이든 수용 가능함 1. a = "I have %s apples" % 3 print(a) 결과값: I have 3 apples s가 문자열이지만, 제일 마지막의 3도 수용 가능해서 %s 자리에 3이 오게 됨 만얀 %를 표시하고 싶다면? %%를 이용!!(백슬래쉬만 비슷함) 2. a = "I have %d%% apples" % 3 print(a) 결과값: I have 3% apples (참고) %%: 파이썬 3.6이상부터 쓸 수 있는..

12. Python 2023.10.21

[파이썬 기본편_15] 문자열 포매팅 (%d, %s)

포매팅이란? 예시) 현재 온도는 18도입니다. 현재 온도는 20도입니다. ... 현재 온도는 34도입니다. 여기서 저 숫자 부분만 바꿀 수 있게 하는 것 1. a = "I eat %d apples." %3 print(a) 결과값: I eat 3 apples. %d 에서 d는 decimal = 10진수를 의미. 젤 끝에 3 자리에 다른 수를 넣으면 해당 수가 %d 자리로 간다 2. a = "I eat %d apples." %5 print(a) 결과값: I eat 5 apples. 3. a = "I eat %s apples." % "five" print(a) 결과값: I eat five apples. %s 에서 s는 string (문자열). 젤 끝의 % 뒤에 있는 문자가 %s 자리에 오게 된다 4. numb..

12. Python 2023.10.21
반응형